□ 태풍 행동요령이 필요한 이유
우리나라는 해마다 태풍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는 나라 중 하나 입니다. 더욱이 태풍은 집중호우를 동반하기에 더 큰 피해를 가중합니다. 태풍 예보와 경보가 발효 되었을 때 행동해야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태풍이란?
열대 해상에서 발생하는 저기압을 '열대 저기압' 이라고 부릅니다. 이중 북서 태평양에서 바람의 중심 17m/s 이상의 풍속을 지닌 가장 큰 열대 저기압을 '태풍' 이라고 합니다.
□ 태풍과 호우에 대한 행동요령
⊙ 태풍 예보 시 행동요령
태풍이 예보되면, 거주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시기를 미리 파악하여 어떻게 대처할지 생각해 봅니다. 그리고 재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어플이 있는데 이는 '안전디딤돌' 입니다.
산, 계곡, 하천, 방파제 등 위험 지역에 위치해 있다면 물놀이 등을 멈추고 주변 사람들과 함께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이는 저지대나 습관적인 홍수 지역, 산사태 위험 지역, 지하 공간 또는 붕괴가 우려되는 노후 주택 및 건물에 위치한 분들 또한 마찬가지 입니다.
그리고 가정의 하수도나 집 주변의 배수구를 미리 점검하고 막힌 곳이 있다면 미리 해결해놓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태풍의 시기에 맞춰 외출과 약속된 일정은 취소하는 것이 좋습니다. 바람에 날릴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등은 미리 묶어놓고 창문은 창문틀에 단단히 테이프 등으로 고정해 놓습니다.
또한 강이나 해변, 저지대에 주차된 차량은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아파트 지하주차장 등의 지반보다 낮은 공간은 모래주머니, 물막이판 등을 활용해 침수를 막는 데 대비합니다.
시설하우스 등 농업시설은 버팀목이나 비닐끈 등으로 굳게 묶고 농경지는 배수로를 정비합니다. 선박, 어망 및 어구는 미리 묶어 피해를 최소화 합니다.
그리고 현지 주민들과 함께 공사장, 축대, 옹벽 등을 미리 점검합니다. 또한 가정에서는 정전에 대비해 비상랜턴, 촛불, 배터리 등을 미리 준비합니다.
⊙ 태풍 특보시 행동요령
강변, 해안가 등 범람 위험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면, 급류에 휩쓸릴 수 있으므로 가까이 가지 않습니다. 산과 계곡의 등산객은 계곡이나 경사면에 가까이 가지 않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건설장, 전신주, 지하공간 등 위험지역에 접근하지 않도록 하며, 특히 건설 자재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건설 현장 근처에는 가지 않습니다. 농촌 지역에서는 논둑이나 물꼬를 챙기는 행동은 하지 않습니다.
운항 중인 선박은 현재 위치를 주변 선박이나 해경에 알려주고 태풍의 이동 경로에서 최대한 멀리 대피합니다.
⊙ 태풍 이후의 행동요령
주택, 상하수도, 축대 및 도로 등 주변에 손상된 시설이 있다면 행정복지센터에 알려줍니다. 손상된 사유 시설을 수리하거나 복구할 때는 사진을 찍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침수된 도로나 교량은 파손됐을 수도 있으니 건너지 않습니다. 강 제방은 붕괴 될 수 있음으로 가까이 가지 않습니다. 고립된 지역에서는 무리하게 물을 건너지 말고 119에 신고하거나 주변에서 도움을 요청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사로 노래찾기! 간단하지만 모를 수 있는 방법 (0) | 2021.08.31 |
---|---|
2021 추석 기차표 예매일정! 준비해 보세요. (0) | 2021.08.30 |
장염 빨리 낫는 법! 이렇게 해보세요. (0) | 2021.04.03 |
술값인상, 카스 캔맥주가 오를 줄 이야! (0) | 2021.03.24 |
최근댓글